본문 바로가기
생활상식

눈병이 났을때 주의사항 정리

by 크런치매니아 2023. 4. 24.

눈은 우리의 가장 소중한 감각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눈에 질병이 생긴다면, 일상생활에서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눈병은 우리의 눈을 감염시키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눈병은 발생 원인에 따라 증상과 치료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눈병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고 예방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눈병이 생겼을 때 주의해야할 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건강하고 깨끗한 눈
건강한 눈

눈병의 증상은 어떤 것이 있나요? 눈병의 증상은 각각의 원인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눈이 따가워지고 가려워지며 붉어지고, 눈꺼풀이 부어오르고, 눈물이 나며, 시력이 감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결막염은 눈에 붉은색의 물집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아야합니다.

눈병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눈병의 원인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세균성 결막염은 주로 손으로 눈을 비비거나, 눈에 먼지가 들어가거나, 불결한 손으로 눈을 만지는 등의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호흡기 감염증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또한, 눈을 자극하는 환경요인(먼지, 스모그, 미세먼지 등)이나, 눈에 강한 자극을 주는 화학물질 등도 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눈병의 치료 방법은 무엇인가요?

눈병의 치료 방법은 원인에 따라 다릅니다. 세균성 결막염은 항생제와 함께 눈안에 항생제를 넣어 치료합니다.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증상이 경미한 경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안약을 사용하며,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합니다. 또한, 눈을 자극하는 환경요인이나 화학물질 등을 피하고, 눈을 깨끗하게 유지하면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눈병은 발생 원인에 따라 증상과 치료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를 알고 예방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눈병이 발생하면 즉시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아야하며,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합니다. 또한, 눈을 자극하는 환경요인이나 화학물질 등을 피하고, 눈을 깨끗하게 유지하면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눈병은 전염성이 매우 강한 질병 중 하나입니다. 특히 여름과 겨울에 유행하는데요, 최근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로 인해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나 공공장소 등에서는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그래서 이번 주제는 눈병이 났을 때 주의해야할 사항들을 알려드리려고 해요.

유행성 각결막염이란 무엇인가요?

각결막염은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환이에요. 증상으로는 충혈, 통증, 이물감, 눈물흘림, 눈꺼풀 부종등이 있고 각막 표면 상피 결손 및 이차감염시 시력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고 하니 미리미리 예방해야겠죠?

아폴로 눈병은 무엇인가요?

아폴로 눈병은 엔테로바이러스 70형 또는 콕사키바이러스 A24형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출혈성 결막염(학명:Eye Infection with Hemorrhagic Erythema Apollo) 입니다.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했을 당시 미국에서 처음 발견되어 이름이 붙여졌어요. 이 병은 잠복기가 8~48시간이며 갑작스러운 양안의 충혈, 동통, 눈부심, 눈물 흘림 같은 증상이 나타나요. 그리고 발병 후 4~5일 동안 점차 심해지고 2주 정도 지속됩니다. 대부분 1주일 이내에 호전되지만 드물게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니 안과 진료를 받아보는것이 좋아요.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무엇인가요?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인 꽃가루, 미세먼지, 황사, 동물의 털 등이 눈에 들어가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에요. 주로 봄가을에 자주 발생하며 가려움증, 시린증상, 따가움, 작열감, 점액성 분비물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치료방법으로는 항히스타민제 안약 점안, 냉찜질, 인공눈물 투여 등이 있으며 심한 경우 스테로이드 성분의 안약을 처방받아 사용하기도 합니다.

지금까지 눈병이 났을 때 주의해야할 사항 몇가지를 알아보았는데요, 모두모두 건강하게 올여름 이겨내보아요!

댓글